흑사병이 지나간 이후의 농촌을 재건하기 위하여 무엇이 필요할까 질문이 먼저 된다.
아그리콜라의 컨포넌트는 농촌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컨포넌트는 판 및 타일와 카드, 그외 구성품으로 이루어 져 있다.
판은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개인적으로 사용되는 판으로 나뉘는데,
위의 두 사진 처럼 게임 진행판과 주설비 판은 공통적으로 사용 된다
반면에 개인 농장판을 플레이어마다 하나씩 나눠써 쓰인다.
타일은 밭, 방 들로 있다.
밭은 뭐 밭이고.. 방은 나무집, 흙집, 돌집으로 나눠져 있다
그 외 X(곱하기) 구걸 등이 있다.
카드로 이루어진 라운드 카드, 설비(주, 보조), 직업(,구판에는 점수를 알려주는 가이드 카드도 있다)으로 이루어져 있다.
라운드 카드는 게임 플레이시 진행시에 늘어나는 행동칸으로 변경될 카드로 총 16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기별 라운드 카드가 따로 존재한다.
주기는 총 6번의 주기로 이루어져 있는데,
1주기는 1~4라운드
2주기는 5~7라운드
3주기는 8~9라운드
4주기는 10~11라운드
5주기는 12~13라운드
6주기는 14라운드
로 이루어 져 있다.
주기 안에서는 카드들이 섞어서 쓸 것이기 때문에 라운드별 행동이 추가되는 것이 플레이시 변수가 되기도 한다.
구판과 신판에서의 명칭이 조금 바뀌었다.
또한 다음 카드는 설비 카드들이다.
설비 카드는 두가지로 나뉘는데 빨간색으로 이쁜 모습(빨강을 좋아하는...)을 하고 있는 주 설비 카드와 빨간색이 아닌 보조 설비 카드로 구분된다.
주 설비 카드는 10장으로 플레이어들이 공통적으로 경쟁하는 부분이 될 수 있는 카드들이며, 특정 플레이어가 구매 또는 구입 시에는 다른 플레이어는 사용을 할 수 없는 형태이다.
반면에, 보조 설비 카드는 플레이어마다 시작시에 7장씩 받아서 사용하는 카드들로 경쟁 없이 본인이 써야 할 시점에 사용할 수 있는 카드들이다.
설비 카드는 읽어야 할 부분들이 많은 카드이다.
위의 카드 처럼 생겨 있는데,
카드에는 이름, 조건, 구매 비용, 점수, 구매후 이동 여부, 설명등 여러 형태의 복잡하게 섞여 있다.
|
|
다시 한번 카드를 보면서 이야기 해보자.
카드는 공통적으로 이름과 설명은 동일하다.
카드들마다의 특징은 조건, 구매 비용, 점수, 구매후 이동 여부가 있다.
조건은 카드를 구매하기 전에 맞춰야 할 기본 사항이다.
또한 구매하기 위해서는 비용을 지불 하게 된다.
그리고 점수가 표기 되어 있는 경우는 마지막 14라운드가 끝나고 합산할 때 점수로 들어간다.
구매후 이동 여부는 화살표가 있으면 사용 후 왼쪽 플레이어에게 넘어간다.
결국은 1회용이며 마을(플레이어들)에서 나눠 쓸 수 있다고 봐야 하는 설비이다.
마지막 카드는 직업 카드가 있습니다.
덱별로 덱표시가 되어 있습니다만 뭐 그렇게 상관은 없으니~ 섞어서 쓰셔도...
다음으로 플레이어 인원수 표시가 있습니다~
플레이어 인원수는 플레이시 사용할 수 있는 카드들을 표기 한 것입니다
1+, 3+, 4+ 로 나눠져 있는데
1+ 는 1인 이상
3+ 는 3인 이상
4+ 는 4인 이상인 경우에서만 사용합니다
나머지 구성품은 게임시 사용되는 자원들이다.
|
|
|
|
기본 자원은 나무, 흙, 돌, 갈대 가 있고,
농작 자원은 곡식, 채소
가축 자원은 양, 돼지, 소
기타 자원은 울타리, 외양간, 음식이 있다.
검색해보면 다양한 형태의 자원들이 존재한다.
( 다음번에 다른 형태를 좀 가져올게요~
집에 3종류나 있는데...... 집이 아니네요 ㅠㅠㅠ)
사용해보면.......느낌만 알면 되는데 말이지...
이것들을 나눠 놓고 게임하려면 생각보다............
기초 셋팅하는 방식을 소개 하고자 한다~
다음에 봅시당~ㅎㅎㅎ
'Thing > Loss of Enjoy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그리콜라] 3. 아그리콜라 게임 진행 (0) | 2017.09.20 |
---|---|
[아그리콜라]2. 아그리콜라 메인 셋팅 (0) | 2017.09.20 |
[아그리콜라] 0. 아그리콜라 소개? (0) | 2017.09.20 |
[아그리콜라...] 에 대한 한마디... (0) | 2017.09.19 |
아그리콜라 2017 개봉기 (0) | 2017.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