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hing/Loss of Enjoyment

[아그리콜라] 1. 아그리콜라 컨포넌트 소개

흑사병이 지나간 이후의 농촌을 재건하기 위하여 무엇이 필요할까 질문이 먼저 된다.

아그리콜라의 컨포넌트는 농촌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컨포넌트는 판 및 타일와 카드, 그외 구성품으로 이루어 져 있다.


판은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개인적으로 사용되는 판으로 나뉘는데,

위의 두 사진 처럼 게임 진행판과 주설비 판은 공통적으로 사용 된다

반면에 개인 농장판을 플레이어마다 하나씩 나눠써 쓰인다.


타일은 밭, 방 들로 있다.

밭은 뭐 밭이고.. 방은 나무집, 흙집, 돌집으로 나눠져 있다

그 외 X(곱하기) 구걸 등이 있다.


카드로 이루어진 라운드 카드, 설비(주, 보조), 직업(,구판에는 점수를 알려주는 가이드 카드도 있다)으로 이루어져 있다.

라운드 카드는 게임 플레이시 진행시에 늘어나는 행동칸으로 변경될 카드로 총 16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기별 라운드 카드가 따로 존재한다.

주기는 총 6번의 주기로 이루어져 있는데,

1주기는 1~4라운드

2주기는 5~7라운드

3주기는 8~9라운드

4주기는 10~11라운드

5주기는 12~13라운드

6주기는 14라운드

로 이루어 져 있다.

주기 안에서는 카드들이 섞어서 쓸 것이기 때문에 라운드별 행동이 추가되는 것이 플레이시 변수가 되기도 한다.

구판과 신판에서의 명칭이 조금 바뀌었다.


또한 다음 카드는 설비 카드들이다.

설비 카드는 두가지로 나뉘는데 빨간색으로 이쁜 모습(빨강을 좋아하는...)을 하고 있는 주 설비 카드와 빨간색이 아닌 보조 설비 카드로 구분된다.


주 설비 카드는 10장으로 플레이어들이 공통적으로 경쟁하는 부분이 될 수 있는 카드들이며, 특정 플레이어가 구매 또는 구입 시에는 다른 플레이어는 사용을 할 수 없는 형태이다.

반면에, 보조 설비 카드는 플레이어마다 시작시에 7장씩 받아서 사용하는 카드들로 경쟁 없이 본인이 써야 할 시점에 사용할 수 있는 카드들이다.

설비 카드는 읽어야 할 부분들이 많은 카드이다.

위의 카드 처럼 생겨 있는데,

카드에는 이름, 조건, 구매 비용, 점수, 구매후 이동 여부, 설명등 여러 형태의 복잡하게 섞여 있다.


 

 





다시 한번 카드를 보면서 이야기 해보자.

카드는 공통적으로 이름과 설명은 동일하다.

카드들마다의 특징은 조건, 구매 비용, 점수, 구매후 이동 여부가 있다.

조건은 카드를 구매하기 전에 맞춰야 할 기본 사항이다.

또한 구매하기 위해서는 비용을 지불 하게 된다.

그리고 점수가 표기 되어 있는 경우는 마지막 14라운드가 끝나고 합산할 때 점수로 들어간다.

구매후 이동 여부는 화살표가 있으면 사용 후 왼쪽 플레이어에게 넘어간다.

결국은 1회용이며 마을(플레이어들)에서 나눠 쓸 수 있다고 봐야 하는 설비이다.


마지막 카드는 직업 카드가 있습니다.

덱별로 덱표시가 되어 있습니다만 뭐 그렇게 상관은 없으니~ 섞어서 쓰셔도...

다음으로 플레이어 인원수 표시가 있습니다~

플레이어 인원수는 플레이시 사용할 수 있는 카드들을 표기 한 것입니다

1+, 3+, 4+ 로 나눠져 있는데

1+ 는 1인 이상

3+ 는 3인 이상

4+ 는 4인 이상인 경우에서만 사용합니다


나머지 구성품은 게임시 사용되는 자원들이다.


 

 

 

 


기본 자원은 나무, 흙, 돌, 갈대 가 있고,

농작 자원은 곡식, 채소

가축 자원은 양, 돼지, 소

기타 자원은 울타리, 외양간, 음식이 있다.


검색해보면 다양한 형태의 자원들이 존재한다.


( 다음번에 다른 형태를 좀 가져올게요~

   집에 3종류나 있는데...... 집이 아니네요 ㅠㅠㅠ)


사용해보면.......느낌만 알면 되는데 말이지...


이것들을 나눠 놓고 게임하려면 생각보다............

기초 셋팅하는 방식을 소개 하고자 한다~


다음에 봅시당~ㅎㅎㅎ